VIA란?

  • QMK 펌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키보드에 매크로나 단축키 등 키매핑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
  • 주로 전용 소프트웨어가 있는 기성품이 아닌 커스텀 키보드에 사용되는 PCB 기판 전용 공용 소프트웨어


VIA가 지원하는 기능

  • 키 매핑
  • RGB ELD 설정
  • 레이아웃 전환
  • 매크로 기능 설정


VIA로 키보드의 키를 매핑하거나 매크로를 설정하였다면 해당 설정 값이 그대로 기판에 설정되어 어느 기기에 연결하여도 똑같이 설정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.


나는 최근 키보드를 사게 되면서 이 키보드에 QMK/VIA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. 전에는 한 번도 이런 키보드 단축키나 매크로에 대해서 쓸모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, 정말 편한 기능이다. 작업이나 미디어나 여러 방면에서도 사용하는게 좋다.


VIA 사이트 - VIA 공식 웹 사이트로 들어가면 편하게 키보드를 설정할 수 있다. 먼저 아무 키보드나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니고, 자기 키보드가 QMK를 지원하는 키보드인지 알아보자. QMK를 지원해야 VIA를 사용할 수 있다. 주의할 점은 VIA를 설정할 땐 무조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. 무선 안댐!


VIA 웹 사이트로 들어오면 바로 [Start Now] 버튼을 눌러 키보드를 설정할 수 있다.

image-20240205155903840


[Start Now]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[Authorize device +] 버튼이 보이는데 클릭!

image-20240205160003631


QMK/VIA를 지원하는 키보드라면 위 버튼을 누르면 바로 지금 연결하고 있는 키보드가 뜨고 연결해주면 된다.

image-20240205160046468


처음 설정할 때 이것만 연결하고 왜 안되지.. 했던 경험이 있는데, 연결 버튼을 누르면 바로 되는 경우가 있고 키보드의 공식 사이트에서 json 파일을 지원해주고 있을 것이다. 설정으로 들어가서 Show Design tab을 활성화 시켜주면 Design tab이 생성된다.

image-20240205161649196


다음으로 Load 버튼을 눌러 json 파일을 업로드 시켜주면 다시 키보드 연결하라는 창이 뜰 것이다. 여기서 다시 자기 키보드를 선택해주면 이제 키보드를 설정할 수 있다.

image-20240205161734218


첫 번째 텝으로 들어오면 Layer가 보이고 아래 매핑할 수 있는 키들이 보이는데, 먼저 Layer는 0,1은 mac에서 사용하고 2,3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레이어이다. 4567 레이어는 사용자가 커스텀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image-20240205161838370


Layer의 운영체제에서 1과 3번은 fn 키를 눌렀을 때 키를 설정할 수 있다. 보면 fn키 자리에 MO(1)이 보이는데 눌렀을 때 키의 레이어를 1번으로 이동한다는 뜻이다. 가장 기본적인 단축키 설정 방법은 변경하고 싶은 키를 누르면 반짝거리는데, 이제 BASIC, MEDIA, MACRO 등등 원하는 키를 선택하면 해당 키에 매핑이 완료된 것이다.


매크로 사용법은 두 번째를 클릭하면 매크로 설정 탭에 올 수 있는데 캡쳐처럼 보이는 Fullscreen 모드로 화면 녹화를 시작해 키를 편하게 캡처하여 설정할 수 있고, 코드 표시를 눌러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.

image-20240205162315281

image-20240205162347105


다음과 같이 키 매크로를 설정할 땐 중괄호로 묶고 , 표시로 여러 키들을 묶어줄 수 있다. 또한 그냥 텍스트를 매크로로 설정한다면 그냥 중괄호를 묶지 않고 입력해주면 되겠다. 이제 Save 버튼을 눌러 매크로를 저장하자.

image-20240205162455941


이제 설정할 때 바꾸고 싶은 키를 선택하여 반짝거리는 것을 확인하고 첫 번째 탭에서 MACRO에서 설정한 매크로 숫자를 입혀주면 된다. 페이지 상에서 바로 바뀐게 확인 되면 바로 키가 매핑된다.

image-20240205162609772


나만의 VIA 팁

내가 설정한 방법인데 먼저 이 키보드는 75% 배열의 키보드이고, 원래 Insert 버튼 옆에 캡처 도구의 단축키가 있는데, 나는 이미 win+shift+s 버튼으로 캡처가 매우 손에 익은 상태이다.

따라서 원래 MX Mechanical 키보드라면 마이크 음소거 단축키가 내장되어 있지만 이 키보드에는 없어서 Micmute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단축키를 설정해서 잘 안쓰는 ctrl+\ 이런걸 매핑하면 손쉽게 디스코드할 때 가족이 들어왔을 때 바로 음소거할 수 있다.


f7부터 f12는 이미 이 키보드에 미디어 키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따로 건들지 않았다. 이 키보드에선 기본 레이어가 f 배열로 되어 있었는데, 이걸 매번 fn키를 누르면 귀찮기 때문에 단축키를 2번 레이어로 옮기고 f1부터 f12를 3번 레이어로 옮겨주면 개발자 도구를 fn+f12로 킬 수 있다.


내가 설정한 다른 키는 f1, f2, f3, f4, f5,f6, capslock 버튼을 설정했다. f1과 f2는 윈도우 가상 데스크톱을 여러 개 띄우면 굳이 프로그램을 닫고 다른 걸 실행시키고 이런 짓을 안해도 되기 때문에 좌우로 옮기는 lctrl+win+(좌,우 화살표) 단축키로 빠르게 가상 데스크톱을 전환할 수 있다.


f3은 바탕화면을 볼 수 있게 프로그램들을 최소화 시켜주는 win+D 키이다. 이를 통해 바탕화면에 무언가 빠르게 설치된 것을 확인하고 볼 수 있다.


f4는 Search 키를 매핑했는데, 검색하려고 매번 ctrl+L을 입력하지 않아도 빠르게 구글 검색을 할 수 있다.


f5는 win + . 단축키를 매크로로 설정하여 이모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, f6은 작업 표시줄에 4번째에 메모장이 있어서 win+4번 을 매크로로 지정하여 빠르게 메모장을 열 수 있도록 지정하였다.


나는 capslock 버튼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 이를 Layer의 7번을 사용하는 MO(7) 키를 매핑해서 화살표로 Page Up, Down, Home, End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.


이번 키보드를 바꾸게 되면서 VIA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, 이런 키보드 단축키나 매크로 설정하는게 의외로 재미있는 면이 있는 것 같다. 뭔가 자신의 작업 속도도 빨라졌다는 그런 자부심을 느낄 수 있어 한 번쯤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.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

댓글남기기